본문 바로가기
정보 이야기

천문학에 대한 글쓰기 마무리

by 이은주 2019. 9. 9.
반응형

지금까지 천문학에 대한 글을 여러편에 걸쳐서 썼는데 오늘은 마무리하는 글이 될것같다 천문학의 학제간 연구 아마추어적 천문학 그리고 천문학의 미해결 문제등에 관해서 작성할예정이다 

첫번째로 아마추어 천문학에 대해 써보면 천문학은 비전문가들 즉 아마추어들이 가장 많이 기여를 하는과학분야 중 하나이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수있는 분야로서 아마추어 전문가들은 다양한 천체와 천문 현상들을 관측한다 일반적인 관측대상으러는 달 행성 혜성 유성우 별 삼원천첸라 불리는 성단 은하 성운등이 있다 떄로는 이러한 관측에 자신들이 직접 제작한 장비가 사용되기도 한다 일부 아마추어 천문인들은 밤하늘이나 특정 천체들의 사진을 찍기도 하는데 이러한 예술적인 사진들 천문사진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취미활동 뿐만 아니라 아마추어 전문가들은 천문학 연구에 꾸준히 공헌해고오 있다고한다 실제로 천문학은 아직까지도 비전문가들이 상당한 기여를 할수있는  몇 안되는 분야중의 하나로서 예들 들어서 아마추어 전문가들은 혜성을 처음으로 발견해내기도 하고 변광성을 꾸준히 관측한다 디지철 관측 기기의 발전으로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은 천문 사진 분야에서 큰 발전을 이루어왔다 예전보다 더욱 부각될것이다 그럼 두번쨰로 천문학의 미해결 문제에 관해 써보겠다 왜 우주는 생겨났는가? 우리 우주를 균일하게 만든 급팽창 인플레이션은 왜 발생했는가? 왜 바리온 비대칭성이 존재하는가하고 암흑물질과 암흑 에너지의 본질은 무엇인가 이들은 우주의 진화와 운명을 경정하는 중요한 성분이지만 그 본질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우주의 궁극적 운명은 무엇이라할수있고 또 어떻게 은하들이 처음 형성되었고 거대한 블랙홀들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초고에너지 울트라 하이 어네지 코스믹 레이들은 어디서 다시 만들어지는가 질량에 따른 별들의 개수 분포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즉 왜 왜 별들이 생성될 당시의 질량분포 초기질량 함수가 일정해보이는가에 답하기 위해서는 별과 행성의 생성과정에 대한 좀 더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우주에 우리말고 다른 생명체가 존재하는가 더 나아가 지성을 가진 외계인이 존재하는가 외계생명의 존재는 예전부터 많은사람들의 관심과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는데 과학뿐만 아니라 철학종교적으로 큰 의미를 함축하고있다 우리 태양계는 보편적인 행성계인가 아니면 특별한가? 위에서 볼수있듯이 비록 천문학은 우주와 그 구성원들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엄청난 발전을 이룩해 왔지만 아직도 중요한 미해결 문제들이 남아있다 이러한 질문에 잡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상 우주 망원경 그리고 획기적인 이론 실험 물리의 발전이 이루어져야할것이다 우주망원경에 대한 글은 예전에도 중요성이 크다고 서술한적이 있다 그럼 망원경의 역할에 대해 잠깐 알아보겠다 망원경은 렌즈나 곡면 거울과 같은 광학 도구를 이용하면 한 점에서 출발한 빛을 다른 한점으로 초점이 맺게 할수있다 즉 피사체와 동일한 모양의 상을 다른 위치에 만들수있다 이떄 렌즈나 곡면 거울의 두께와 곡률등을 조합하여 피사체보다 더 큰 상을 만들게 되면 우리는 실물보다 더 크게 물체를 볼수있는것이다 생각보다 복잡하게 보인다 하지만 망원경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집광능과 분해능이다 사람의 동공보다 훨씬 더 넓은 면적의 렌즈나 곡면 거울을 이용하여 빛을 모으므로 육안으로 볼수있는것보다도 더 어두운 피사체를 볼수있게 해준다 이것이 집광능이다 또한 망원경의 광학계 렌즈 또는 거울의 지름이 클수록 분해능이 높아지므로 피사체를 더욱 세밀하고 뚜렷하게 볼수있게 해준다 이 두요소 덕분에 망원경은 멀리 떨어져서 희미하게 보이는 천체를 울리가 관측할수있읗 정도로 밝게 빛을 모아주는 동시에 관측대상의 상을 더욱세밀하고 정확하게 맺어 주기 떄문에 천문 관측에 아주 적합한 도구이다 이것이 중요한 점이다 망원경이 처음 발명된 칙후부터 갈릴레오 갈릴레이에 의 해 천문관측에 이용되었고 현대에도 지름수 미처 이상의 대형 망원경들이 다수 제작되어 천문관측에 널리 이용되고있다 고전적인 의미의 망원경은 빛 즉 우리가 눈으로 볼수있는 가시광선 영역의 전자기파만을 모으는 역할을 해왔으나 현대에 들어서는 가시광선 영역 이외에도 지구에서는 관측하기 어려운 자외선 엑스선 감마선 적외선 전파등의 전자기파를 모아 관측할수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그 목적에 맞는 다양한 망원경들이 만들어졌다 이러한 현대의 망원경들을 통해 우리인류는 지금까지 알고있었건 우주의 모습을 넘어서 더욱 더 다양한 천체와 우주의 모습을 바라볼수있게 되었다 망원경의 세부설명은 여기까지만 하고 그러면 세번째로 마지막으로 학제간 연구에 대해 알아보겠다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은 다른 과학분야와 관현된 학제간 연구 인터디스플리너리 스터디스 를 활발하게 발전시켜왔다 예를 들어 고전문학 알케오어스트로노미 은 고고학과 융합된 학문으로서 고대 또는 전통적인 천문학을 문화적인 측면에서 연구하는 분야이다 한편 천문생물학 아스트로볼로지은 지구 이외에도 생명체가 존재할수있다는 천체하에 우주 생명체의 등장과 진화에 대해 연구하는 분야이다 우주에서 발견되는 화학물질의 생성 변화 소멸들을 연구하는 분야는 천문화학이라고 불린다 아스트로 케미스트리 이러한 물질들은 주로 분자운 온도가 낮은 별들 갈색왜성 그리고 행성들에게서 주로 발견된다 우주화학 코스모 케미스트리라고 불리는 은 태양계내에서 발견되는 화학물질들을 연구하는 분야로서 원소와 동위원소의 상대적인 비율을 다룬다 이 두분야들은 천문학과 화학이 융합된 분야이다 

이번글은 지금까지 천문학에 대한 남은 이야기 세가지에 대해 서술해보았고 천문학에 대한 글을 여기까지 쓸것이다 

몇편에 걸쳐 글을 작성했는데 다음글부터는 사대문명이나 이러한것에 흥미가 생겨 써볼예정이다 

반응형

'정보 이야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집트 문명의 유적지  (0) 2019.09.10
세계4대문명에 대해 알아보기  (0) 2019.09.09
천문학의 세부분야 두번째 이야기  (0) 2019.09.05
천문학의 세부분야  (0) 2019.09.05
계속쓰는 천문학이야기  (0) 2019.08.30

댓글